정년 퇴직 나이 계산기 만 60세 계산법 및 퇴임 날짜 알아보기

이슈/유머

정년 퇴직 나이 계산기 만 60세 계산법 및 퇴임 날짜 알아보기

깔짝 0 187 02.28 23:28

정년퇴직 나이 계산기 만 60세 계산법 및 퇴임 날짜 알아보기 

정년퇴직 나이는 만 60세가 기준입니다.

현재 나의 정확한 만 나이를 계산해 보고 정년 퇴임

날짜를 어떻게 계산하고 적용되는지 살펴보시기 바랍니다.


정년퇴직 나이 

사업을 하거나 자영업자가 아닌 일반적인 회사원분들,

회사나 직장에 소속되어 있는 분들의 경우 법적 정년퇴직 나이는 만 60세입니다.

우리나라 정년퇴직 나이에 대한 근거는 고용상

연령차별 금지 및 고령자 고용촉진에 관한 법률 제 19조(정년)

부분에 명시되어 있는 부분입니다.

최근에는 정년퇴직 나이 연장에 대한 이야기도 많이 있지만

아직 법적으로 정해진바는 없기에 현재까지는 만 60세가 정년퇴직 나이입니다.

정년퇴직은 만 나이는 생일을 기준으로 하기 때문에

내 생일이 되는 시점이 바로 만 60세가 되는 날이자, 정년퇴직 나이가 됩니다.

다만 생일이 되어 만 60세가 되었다고

딱 그날에 퇴직처리가 된다고 볼수는 없습니다.

보통 이런 경우는 회사 취업 규칙에 따라서 달리 적용됩니다. 


정년 퇴직 나이와 퇴임 날짜 

생일이 되어 만 60세가 된 경우 정년 퇴직 나이가 되었다면

실제적으로 퇴직을 하는 날은 언제일까요.

대법원 판례에서도 알 수 있듯이 만 60세가 되는 생일날을

정년 퇴직 일자로 보고 있습니다.

다만 실제적으로 이렇게 칼같이 딱 생일날 퇴직 처리가 되지는 않습니다.

앞에서도 말한 것처럼 회사의 사규에 따라 다르며

정년 퇴직 나이가 된 사람의 퇴사 일자의 경우는 보통 일반적으로 아래 3가지로 구분됩니다.


정년 퇴임 날짜 유형

1.만 60세가 되는 생일날

2.만 60세가 된 생일이 포함된 달의 마지막 날

3.만 60세가 된 해의 연말


보통 생일날 바로 퇴직이 되는 경우는 드물고

어느 정도 회사에서 당사자와 협의를 통해 융통성 있게

퇴사 날짜를 조정하곤 합니다.

간혹 일부 공무원들의 경우는 상반기에 생일을 맞이해

정년퇴직 나이가 된 사람의 경우는 상반기 6월의 마지막 날,

하반기에 생일을 맞이해 정년퇴직이 도래한

사람의 경우는 하반기 12월의 마지막날에 퇴직 처리가 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정년 퇴직 나이 계산기

정년퇴직 나이를 계산하기 위해서는 만 나이를 계산해야 합니다.

일반적으로 만 나이를 계산할 때는 생일이 지났는지 안 지났는지를

기준으로 다음과 같이 계산합니다.

생일이 지나지 않았다면 1을 빼줍니다.

간혹 생일이 지나지 않은 경우 2를 빼준다고 알려진 경우도 있는데 이는 잘못된 내용으로 1을 빼주는 것이 맞습니다.


▶생일이 지난 경우 : 기준연도(이번연도)-태어난 연도

생일이 지나지 않은 경우 : 기준연도(이번연도)-태어난 연도-1


만약 정년퇴직 나이 만 60세가 되었는지 안되었는지

궁금하신 분들이라면 정년 퇴직 나이 계산기(만 나이 계산기)

이용하셔서 나온 결과가 만 60세 인지 확인해 보시면 됩니다.

d9d9dc082fb02dfd73809aecd23ef239_1709130420_2022.png
d9d9dc082fb02dfd73809aecd23ef239_1709130434_5796.png 


만 나이와 정년퇴직 연장 여부

지난 6월 28일 만 나이 통일법이 시행되었습니다.

이에 따라 많은 사람들이 정년퇴직 날짜도 그럼 늦춰지는 것이 아닌가

생각하시는 경우가 많습니다.

하지만 기존에도 정년퇴직 나이는 만나이로

계산을 했기 때문에 만나이 통일법이 시행된다고

하더라도 정년 퇴직 나이나 시점의 변화는 없습니다. 


정년 퇴직 나이 계산기를 이용하시면 만

나이를 쉽게 계산할 수 있습니다.

만 60세가 된 경우 보통 위에서 안내해 드린 3가지 유형으로 퇴임 날짜가 정해지게 됩니다.